목록UE5 (44)
오븐 노트

set : 특정 공간에 원하는 값을 넣어달라는 것. ex) 초기 값이 100인 공간에 50으로 덮어씌워라 get : 특정 공간에 있는 값을 읽어달라는 것. 다만, 읽는 것 뿐이지 꺼내오는 개념이 아님. ex) a에 있는 값을 읽어줘 -> 50 BLUEPRINT의 VARIABLES에서 변수를 선언했음에도 set, get 등으로 재선언을 하는 이유는 그것이 변수를 선언한 것이 아닌 기능을 추가한 것 뿐이기 때문. 함수 : 특정한 일을 해주는 기계같은 개념. 다만, 입력과 출력이 무조건 있어야 하는것은 아니다. 경우에 따라 둘 중 하나 또는 둘 다 없는 경우도 있다. --- 함수 --- To Text : casting 기능 ------------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%EC..
항상 지금까지 배운게 무엇인지를 생각하고, 게임 제작에 어떤식으로 응용이 가능할지 꾸준히 생각해야한다. 데이터(Data) : 어떠한 데이터를 컴퓨터에 인식을 시켜주는 개념. 무언가를 의미하는 정보를 RAM에 저장하는 것 로직(Logic) : 데이터를 가공하고 다시 의미있는 무언가로 변화시킨 후 저장시키는 개념. 데이터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변수(Variable)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접근하게 된다. VARIABLE(변수) + 버튼으로 변수 추가 후, 원하는 변수를 선택하여 F2 입력 시 변수 명 수정 가능 --- 변수 타입 관련 --- - 언리얼 엔진에서는 snake_case보다는 CamelCase가 일반적이고, 만약 Boolean 타입 일 시, 앞에 소문자 b를 붙이는게 일단은 기본적인 룰이다...
[LEVEL BLUEPRINT] *** 코드 작성 후 Compile -> Save 필수 *** Level : 언리얼 엔진에서의 맵 (유니티의 scene) 빨간 박스 : 일종의 트리거. 어떠한 상황에서 호출 될 것이라는 명령, 약속 Event BeginPlay: 게임 시작 시 최초 실행 Event Tick : 게임 시작 후 매 프레임마다 실행 Keyboard Events : 지정한 키 입력 시 실행 영역 선택 후 C : 주석 영역 선택 후 Q : 일직선 정렬 연결 된 선 사이를 더블클릭 : 선정리 가능 (진짜 전선마냥) 연결되어 있는 화살표 우클릭 Break All(Break This Link) : 연결된 선 제거 (Alt + 좌클릭 단축키) 연결 된 화살표에서 Ctrl + 드래그 : 선 이동 https:..
언리얼 엔진이나 유니티 엔진이나 게임을 개발할 때 게임을 개발한다고 생각치말고 영화를 촬영한다고 생각한다면 각 기능에 대해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쉽다 [아트 직업군에서 주로 사용하는것 관련이지만 간략한 사용법] 우클릭 + wasd 화면 이동 우클릭 + qe 상하 이동 Place Actors : 대기실 Content Browser : 소스 코드 작성, 사운드 파일 저장, 아트 리소스 저장 등 준비물 관리 물체 클릭 후 QWER 입력 시 select 방식 변경, 해당 화살표로 드래그 시 위치, 각도, 크기 조작 END키 입력 시 선택한 구조물을 바닥(Floor?)에 딱 붙여줌 F키 입력 시 선택한 구조물 확대 Outliner : 인게임에 배치한 모든 물품을 보여줌 (포토샵 레이어 비슷한건가?) 그룹화도 가능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