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벡터 (2)
오븐 노트

Get Actor Location: 선택한 요소의 위치값 추출Vector Length: 벡터 거리Normalize: 벡터 정규화Set Actor Location: 좌표 이동이동 관련해서는. 특히 Tick 관련에서는 반드시 시간과 연산하여 생성하는 것이 중요함.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%EC%96%B8%EB%A6%AC%EC%96%BC5-%EA%B0%9C%EB%B0%9C%EC%9D%98%EC%A0%95%EC%84%9D-1/dashboard[입문자를 위한 UE5] Part1. 언리얼 엔진 블루프린트 UE5 카테고리의 글은 인프런 Rookiss님의 강의를 공부하며 정리하는 내용입니다.이미 알고 있는 내용도 다시 정리 되어있을 수 있습니다...
벡터: 방향 + 크기 ex) 우측으로 5만큼 이동해라 / 우측으로 5m/s의 속도로 이동해라 / 우측으로 5N의 힘을 가해라 단위 벡터: 크기가 1인 벡터 / 정규화(normalize) 단위 벡터 = a/c, b/c 방향에 대한 정보만 남기고 크기는 날려버리는게 단위 벡터를 만드는 작업. 위치 벡터: 위치를 표현하는 벡터 (x, y, z)를 좌표 값으로 간주 / Vector = (x, y, z) https://www.inflearn.com/course/%EC%96%B8%EB%A6%AC%EC%96%BC5-%EA%B0%9C%EB%B0%9C%EC%9D%98%EC%A0%95%EC%84%9D-1/dashboard [입문자를 위한 UE5] Part1. 언리얼 엔진 블루프린트 UE5 카테고리의 글은 인프런 Rooki..